2021년도 중국 및 러시아·CIS 현지장학생 장학금 수여식 (2021.12.24.)/Церемония вручения стипендии студентам местных вузов Китая, России и стран СНГ

의미 있는 한국어 수업을 위한 「초·중·고 한국어 교육과정 혁신 방안」에 바탕을 둔 새로운 MOU를 체결
구분 | 2020~2021학년도 이전 | 2021~2022학년도 이후 (혁신안) |
---|---|---|
정규과정 | ◦ 제2외국어 과목 운영 불가능 – 제2외국어교육 정책 부재 ◦ 극소수 학교만 선택 과목 운영 가능 – 김나지야 쉬꼴라(전체 0.3%) ◦ 대부분 방과후과정 운영 | ◦ 좌동 – 국가교육과정 변화 없이는 개선 불가능 – 주재국 교육과학부에 제2외국어교육 정책 도입을 위한 연구학교 운영을 제안했으나, 미수용(2021.8.) |
채택기준 | ◦ 별도 기준 없음. – 대부분 수업시수 1~2시간/주 (평균1.67시간) – 주로 5~8학년 대상 운영으로 진로·진학 연계 불가능 – 방과후과정, 학교 강제로 구성 | ◦ 의미 있는 한국어 수업 운영 기준 – 반드시 수업시수 4시간/주 이상 – 9~11학년 대상 운영 및 진로‧진학 연계 – 방과후과정, 학생 희망으로 구성 |
예산 | ◦ 교육원이 직접 집행 | ◦ 학교회계로 예산 지원(인건비, 운영비 등) |
2021년 장관배 전국 학생 백일장 시상식 및 키르기즈국립대 외국어학부 한국어전공 장학금 수여식 관련 (Ильчи 신문 2021.09.20. 6면 )